불로소득은 일하지 않아도 생기는 소득을 의미합니다 이번시간에는 불로소득 한자, 뜻, 유래에 대해서 안내해드리겠습니다
불로소득 한자, 뜻
불로소득은 한자로 다음과 같습니다
- 不(아닐 불): 아니다
- 勞(일할 로): 일하다, 노력하다
- 所(바 소): ~하는 것 (지시하는 역할)
- 得(얻을 득): 얻다
불로소득을 해석하면 일하지 않고 얻는 소득을 말합니다 즉 노력하지 않고 얻는것을 뜻합니다
불로소득 유래
경제학의 고전적 이론에서도 불로소득은 중요한 개념이었습니다 영국의 경제학자 아담 스미스는 토지 소유자가 얻는 지대(地代, 땅값에서 생기는 이익)를 불로소득으로 설명했습니다 그는 노동이나 자본 투자 없이 단순히 토지를 소유하고 있다는 이유만으로 얻는 이익이므로 사회 전체의 생산성을 높이지 않는다고 보았습니다
이후 경제학자 데이비드 리카도 역시 같은 맥락에서 지대는 불로소득의 대표적인 형태라 말하며, 과세를 통해 조정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불로소득의 종류
불로소득은 다양한 형태로 나타납니다. 몇 가지 대표적인 예시는 다음과 같습니다
- 이자소득 : 은행에 예금해두면 일정한 이자가 붙습니다. 돈이 일을 대신하는 셈입니다
- 배당소득 : 주식을 보유하고 있으면 기업이 이익을 낼 때 주주들에게 배당금을 지급합니다
- 임대소득 : 건물이나 토지를 빌려주고 받는 돈입니다. 특히 부동산 시장에서 큰 부분을 차지합니다
- 양도차익 : 땅이나 집, 주식을 샀다가 가격이 올라 팔면서 얻는 이익도 불로소득으로 분류됩니다
- 상속·증여 : 부모나 가족으로부터 물려받는 재산도 노동 없이 얻는 소득으로 볼 수 있습니다
[함께 보면 좋은 정보]